본문 바로가기

스터디 메모3 (논문)

논문리뷰 10: ustifying knowledge, justifying method, taking action: Epistemologies, methodologies, and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Carter, Stacy M., and Miles Little. "Justifying knowledge, justifying method, taking action: Epistemologies, methodologies, and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7.10 (2007): 1316-1328.



Epistemology, methodology, method는 양질의 질적 연구 설계와 실행, 평가를 위해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들임

이 논문에서는 각각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들의 상호연관성, 중요성 등을 검토함

일반적으로 어떤 연구가 질적 연구라고 말할 때는 사회연구에 있어서 numerical data가 아닌 text data에 의존하며, 그 목적이 어떤 정해진 가설을 테스트한다기보다는 인간행동의 의미를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의 질 평가를 위해서 어떤 것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다룰 것이다.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epistemology: "the study of the nature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or "justification of knowledge"

methodology: "a theory and analysis of how research should proceed" or "justification for the methods of a research project"

methods: "procedures, tools and techniques of research" or "research action"


Image result for carter little epistemologies

즉, methodology는 method를 justify해주고, epistemology는 methodology를 modify하며, 생산된 지식을 justify해준다. (상단 그림 참조)


Epistemology: justifying knowledge

As academic researchers inform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epistemic questions, we will discuss questions regarding research practice as knowledge creation and the status of the knowledge created.

Methodology: justifying method

logic-in-use: 지식을 생산하기 위해서 연구자가 사용하는 논리들을 말함

reconstructed logic: logic-in-use를 formulate, articulate, analyze, or evaluate 하려는 시도들을 말함

따라서 a set of reconstructed logics of qualitative research가 바로 methodologists 의 목표가 된다. 

Types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strategies of inquiry, traditions of inquiry)

1. grounded theory approaches

2. narrative, life history, testimonio, and biographical methodologies

3. ethnographies

4.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raditions

5. various phenomenological or phenomenographic traditions

6. case study approaches


Method: Research action

-practical activities of research: sampling, data collection, data management, data analysis, reporting

-sample: purposive sampling을 취하는데 그 종류는 theoretical sampling (Charmaz), sampling for maximum variation and time-or place-based sampling (Ritchie et al.) 

-data collection: 관찰, 인터뷰, 포커스그룹, collection of extant texts (such as organizational records), elicitation of texts (such as participant diaries), the creation or collection of images (such as photos and video), 인터넷 기반 데이터수집이 늘어나고 있음 (이메일 인터뷰, 블로그 초대 등)

-data management: recording, transcription, transcript checking, computer assisted analysis software

-data analysis: constant comparison, memo writing, theory building, narrative analysis techniques, microlinguistic analysis techniques

중요한 점은 질적 연구에서 writing과 reporting은 분석과정의 일부라는 것, 연구자의 해석은 이를 통해서 발전됨.




The contribution of epistemology to qualitative research

it has to do with theories of knowledge

제프리교수와 로즈교수의 예

제프리교수: 지식은 연구대상자와 연구자가 함께 만들어내는 산물이라고 이해함, 이것은 일반화될 수 없으며, 주관성은 투명성을 통해 극복 가능하다고 믿음

로즈교수: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실제적인 믿음과 가치들에 접근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것은 일반화될 수 있음. 주관성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장치들을 만들어야 함


Epistemology influences methodology

Methodologies justify methods, and methods produce knowledge, so methodologies have epistemic content. 

제프리교수는 phenomenological study를 선호하고, 로즈교수는 grounded theory를 선호할것


Epistemology influences implementation of method

Method makes epistemology visible.

1) epistemology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제프리교수는 연구대상을 active contributor로 이해하고 로즈교수는 연구되는 '대상'으로 이해

로즈교수는 연구자가 믿음, 태도, 가치를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을 중요시함, 이때 편견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

제프리교수는 행동의 의미를 연구대상과 함께 만들어내는 것을 중요시함

2) epistemology influences the way in which quality of methods is demonstrated

로즈교수는 연구자가 복수의 관찰자로 하여금 관찰결과를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연구질의 평가기준으로 세움, 연구대상으로 하여금 그 관찰 결과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음. 또한 여러 다른 데이터소스를 triangulating하기를 제안할 수 있음. 또한 데이터수집은 분석 전에 명확하게 규명되어야 하며 재현가능해야 함. 데이터 분석에 코드북을 사용하고, 언어 분석에 표준화된 양식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함. 양적 분석을 통해 일반화가능성을 테스트해보기도 함

제프리 교수도 복수의 소스를 활용하기를 원하지만 이는 더 많은 데이터를 얻기 위함이며, 분석은 데이터수집과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좋다고 봄. 또한 데이터의 분석은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프레임웍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목적임. 연구대상에 대한 detailed records가 중요함 


Epistemology influences form, voice, and representation in the method

Epistemology는 연구자들이 청중과 소통하는 방식을 결정함 

제프리교수는 연구자가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그려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청중 역시 active interpreters로 여김 

로즈교수는 완결되고 일관된 분석,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제 3자의 입장을 취하는 서술이 중요하다고 봄 


Epistemology is axiological

method의 실행을 둘러싼 이러한 긴장은 결국 epistemology가 axiological하다는 사실을 보여줌. 이는 두가지 측면에서 그러함

1) epistemology 그자체: 이는 무엇이 지식을 trustworthy하게 만드는지에 대해 가치판단이 개입되기 때문에 

2) epistemology에게 inform하는 문화적 맥락: 연구에 의해 생산된 지식은 문화적 가치에 근거해 토론되고 평가되며 정당화 됨


The contribution of Methodology to qualitative research

Iterative planning relationships: methodology interacts with objectives, questions, and study design 

연구 목적, 연구질문, 연구디자인이 methodology의 선택을 주도하면서 methodology가 반대로 이들을 결정하기도 함. 결국 이것은 모두 decision-making은 iteration을 통해서 일어남. 


Relationships of praxis: different methodologies are more or less prescriptive about actions taken in the research cycle 

grounded theory study design은 theoretical sampling을 phenomenologies나 내러티브는 less prescriptive한 샘플링을 선택


Connects research to theory and discipline

질적 연구가 이론에 근거하는 방식들

1) 각각의 methodology들은 특정한 학문분과(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등)에서 발흥하였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각자의 학문분과의 이론과 methodologies를 연결시킬 수 있음

2) methodologies는 연구 과정의 두 단계에서 formal and substantive theories를 사용하기를 장려함: 하나는 연구 목적, 질문, 디자인 설정 단계 두번째는 결과의 분석과 해석단계 

3) 각각의 methodologies는 empirical work의 수행에 있어서 substantive theories의 발달을 장려 혹은 제한함. 때로는 이론의 부재가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단게가 있을 수 있음 

Grounded theory를 예로 든다면 우선 이 방법론은 이론을 생성하기 위함이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이 아니며, 연구 목적, 질문, 디자인의 설정 단계에서는 존재하는 이론을 활용하는 것을 제한하고, 결과를 해석할 때는 장려함. 이 방법론은 다양한 formal theories 및 사회학 (특히 상징적 상호작용론 및 social constructivism)과 친화성이 있음. 이 이론을 잘 숙지하는 것은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인 베이스를 탄탄히 함으로써 nuanced and flexible 활용을 가능하게 함. 메커니즘을 모르고 레시피를 따라하는 것과 아는 것의 차이임. -> reflexive and creative practitioner가 되는데 도움

ethnography를 예로 든다면 크게 cultural ethnography나 critical ethnography를 활용할 수 있음. 전자는 문화인류학을 후자는 비판이론에 영향을 받았으며 전자는 thick, situated, atheoretical description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며 그 성과물은 outsider seeking to engage with that culture에게 가치가 있음. critical ethnography의 경우에는 반대로 연구질문과 디자인을 비판 이론에 의해서 설정하고, 결과도 이론의 주요 요소들, power, oppression, liberation에 근거하도록 요구함. 이는 rich emic description을 덜 포함할 것임. 

연구가 어느정도 이론적인지는 사실 method, methodology, epistemology의 선택이 얼마나 내적 일관성을 갖추었는지보다 덜 중요함. 


The contribution of method to qualitative research

sampling, data collection, data management, analysis, and reporting을 규정하는 methods는 질방에서는 연속적이며 반복적이다 (linear한 양방과는 대조적) methods는 최종 연구 결과를 결정한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할 건가 개별 인터뷰를 할 건가 이메일로 할건가 대면으로 인터뷰를 할건가 등등의 결정은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도 주요한 문제임. 따라서 methods는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함. methodology와 epistemology가 가시적일 수 있는 것은 methods를 통해서임.


Applying the framework: epistemology, methodology, and method in the research process 

질방연구를 수행하면서 결정할 것들과 평가할 때 기억할 것들

1. epistemological position 정하기

2. methodology 정하기 

3. methods 정하기, 이때 선택된 epistemology와 methodology 내에서 정하는 것이 중요함 

4. 연구의 질에 대한 토론: Peer reviewers prioritized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se elements as the key marker of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the incommensurability of different epistemologies could be circumlocuted and unnecessary prescriptiveness about methodology and method avoided.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1) the absence of ontology: 본 연구의 질문의 범위를 벗어남

2) potential objections to pluralism: logic-in-use는 이미 다양하게 존재함

3) potential challenges in implementation: methods를 자세하게 다룬 연구들은 아주 많음. 이 논문의 목적은 상세한 방법론적 설명을 제공하기 위함이 아님. 

4) researchers are not always methodologists: 이 페이퍼가 주장하는 것은 최소한 자신이 근거하는 인식론적 기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